이번에 분석해 볼 게임은 Eco입니다.
만약 Eco라는 게임에 대해 모르신다면 이전 포스팅을 읽어보고 오시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Steam Eco (스팀 에코) 분석 - 서론
이번 포스트에서는 인디게임 Eco에 대해 분석해 보겠습니다. 아마 이 글을 읽는 대부분의 분들은 이 게임이 어떤 게임인지 모르실것 같으니 이번 포스트에서는 Eco에 대해 간단히 알려드리도록
simplestudy-of-game.tistory.com
이 포스팅에서는 Eco의 근간이 되는 레벨 시스템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Eco는 한 사람이 모든 것을 다 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 이유중 하나가 바로 레벨 시스템때문입니다.
Eco는 아래와 같은 UI로 구성된 레벨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희가 주목해야 되는 것은 '16 ✨(별)'이라고 적혀있는 칸과 그 아래의 2개의 원형 공간입니다.
우선 레벨의 기본적인 정보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Eco에서 레벨이란 바로 저 별의 개수를 말하는 것입니다.
별을 얻기 위해서는 경험치를 일정량 모아야 합니다.
경험치는 칼로리를 소모할때 해당 칸의 배수에 따라서 획득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가 게임을 종료하더라도 획득이 가능합니다.
지금 위의 사진에서 플레이어는 16개의 별을 가지고 있으며, 'X 51.6' 이라는 배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소모된 칼로리 = 경험치'로 계산됩니다.
Eco의 서론 포스팅에서
Eco는 레벨이 오를수록 다음 레벨로 올라가는데 필요한 경험치가 비약적으로 상승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이게 어느정도냐면, 처음 1~3레벨 정도는 6~7시간 뒤에 획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4레벨 정도 부터는 12시간 정도 뒤에 획득이 가능하며,
그 이후에는 24시간 혹은 그 이상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위에 그림에서는 36일 뒤에 레벨 업을 하게 됩니다.
이처럼 높은 레벨에 도달하면 제한된 30일이라는 시간 안에
레벨을 올리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게됩니다.
이러한 레벨업 시스템 때문에 유저들은 자연스럽게 다른 이들과 협동을 하게 됩니다.
또한 이렇게 한 사람이 제한된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경우,
유저들은 다음 회차에서는 다른 역할을 할 수 있기에 게임의 콘텐츠도 늘어나게 됩니다.
다음으로 알아볼 것은 아래 그림의 왼쪽 원형 공간입니다.
왼 쪽 공간은 현재 캐릭터의 영양소 상태를 알려주는 칸입니다.
시계방향 순서대로 탄수화물/단백질/지방/비타민입니다.
4개의 영양소의 비율이 잘 맞을수록 배수가 늘어나게 됩니다.
경험치와 레벨링을 설명하는데 영양소는 왜 필요할까요?
그 이유는 게임 내 직업 '요리사'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해서입니다.
게임이 진행될수록 기술수준은 높아지는데 음식이 단순히 칼로리만 올려주는 것이라면
굳이 많은 재료와 레벨을 요구하는 고급음식을 먹을 이유가 없어집니다.
그렇게되면 게임 내 요리사라는 직업은 쓸모없는 직업으로 전락합니다.
게임 제작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인지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경험치를 음식과 연관지어 해소하였습니다.
또한 게임이 진행될수록 필요한 경험치가 비약적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고급음식을 먹으면서 높은 경험치 배수를 획득할 수 있게됩니다.
이렇게 되면 고급음식을 만들 수 있는 요리사는 빠른 기술발전을 위한 필수 직업으로 탈바꿈됩니다.
이처럼 Eco에는 기술 발전의 중심에 서 있는 공학계열 직업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이런 자잘한 직업도 서로 협력을 해야지만 목표 달성이 가능해집니다.
마지막으로 아래의 그림의 오른쪽 원형 공간은 '하우징' 상태를 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하우징'이라는 개념은 에코만의 특수 시스템이기 때문에 나중에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금은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자신의 집을 꾸미면 경험치 배수를 올릴 수 있게 됩니다.
왜 이런 시스템을 만들었을까요?
이 또한 특정 직업의 필요성 강조와 협력 때문입니다.
특정 직업은 현재 게임내에서 건축재료밖에 만들지 못합니다.
대표적으로 유리제조와 고급석조기술입니다.
다른 기술과 비교했을 때 만들 수 있는 종류가 확연히 적습니다.
이런 기술들은 일부 특정 물건들이 산업발전을 위해 필요하지만 해당 물건을 만드는 것 외에는 쓸모가 없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기술을 유저들이 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하우징이라는 시스템을 넣게 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Eco의 레벨시스템은 소외되는 특정 직업을 유저들이 하도록하며 동시에 유저들에게 협력을 유도하는 시스템입니다.
오늘은 Eco의 레벨시스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도 Eco를 2번 정도 클리어 했는데 첫번째는 광부로 두번째는 요리사로 클리어했습니다.
특이한 것은 첫번째 게임은 공산주의식 게임을 진행했고 두번째 게임은 자본주의식 게임으로 진행을 했습니다.
다음에는 경제시스템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생존 게임 > Eco'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eam Eco (스팀 에코) 분석 - 경제 시스템 2 (0) | 2022.03.03 |
---|---|
Steam Eco (스팀 에코) 분석 - 경제 시스템 (0) | 2022.03.02 |
Steam Eco (스팀 에코) 분석 - 서론 (0) | 2022.02.26 |
댓글